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타운하우스 알아보기

부동산 이모,저모

by 신비 복숭아 ~ 2022. 7. 23. 12:12

본문

728x90
반응형

타운하우스

공동주택공동정원에 연속 저층으로 건축된 집.

 

중세 유럽의 가톨릭 문화권에서 흔히 보이는 건물,

폭이 좁은 대신 길이가 긴 이른바 세장형 주택에서 유래된 주거 양식,

 

 

 시대가 변화면서 영국 귀족들이 도시지역 내에 지니는 저택 의미,

영국 귀족은 자신의 영지 내에 교외 주택을 가지고,

수도 도시에 따로 가진 주택이 타운하우스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으로 건너가, 주택단지를 뜻하는 말로 의미가 바뀜.

 

타운하우스의 형태 중 테라스 하우스.

빅토리아 시대의 영국 가정은 한 건물에  여러 가구가 북적북적 모여 사는데,

대부분 안뜰을 겸한 정사각형의 건물이나 길거리에 다닥다닥 붙은 2~3층짜리 건물,

그중 1875년 이전에 지어진, Two-up two-down 형태의 집은

각 가정에 화장실이 집집마다 없어 다른 집들과 같이 쓰고,

욕실이 없어 매일 목욕을 하는 건 사치.

 

단독주택과 아파트의 중간에 위치한 주거 형태.

1~2 층의 단독주택이 여러 가구씩 모여 정원과 담을 공유하는 형태.

단순히 비슷하게 생긴 단독주택이 여러 개 모였다고 타운하우스가 되는 건 아니다.

 

 

장점

● 아파트처럼 답답하지 않고, 적은 인구가 정원 이용으로 쾌적.

● 개인의 프라이버시 보호

● 공동 거주로 치안이나 기타 관리적인 측면에서 용이. 

● 층간소음으로 인한 이웃과의 갈등은 없다고 보면 된다.

● 층층마다 모퉁이가 따로 설치되어 있어 집안일을 분담.

 

단점

● 단독주택만큼 개인 프라이버시가 보장되지 않는다.

● 공동주택이므로 관리비가 든다.

● 단독주택만큼 마음대로 집을 꾸미기 어렵다.

● 아파트처럼 대규모 단지를 구성하는 경우가 드물어서

자체 편의시설(어린이집 등)을 갖추기 어렵다.

● 아파트와 마찬가지로 대지지분을 공유하는 경우가 많아

노후화 시 재건축을 해야 하는데, 아파트와 같이 전부 참여해야 하며

각 개인이 자기 집을 함부로 재건축할 수가 없다.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